간접 표준화 방법을 통해 서울시를 표준집단으로 설정하고, 특정 자치구의 결핵 유병률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아래는 각 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가정 데이터
1단계: 소그룹별 기대 환자 수 계산
각 연령대별 결핵 유병률에 A지역의 인구수를 곱하여 기대 환자 수를 계산합니다. 인구에 발병률을 곱하면 서울시를 토대로 A시에 대한 예측을 한 게 되겠죠
서울시의 발생률 데이터를 기반으로 A에서 일어날 사건을 예상한 겁니다
1. 전체 집단의 사건 발생률:
• 간접 표준화에서는 전체 인구(또는 표준 집단)의 사건 발생률을 기반으로 특정 집단에서 기대되는 사건 수를 계산합니다. 이는 전체 집단의 평균적인 특성을 반영하므로, 해당 집단도 비슷한 경향성을 가질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합니다.
2. 표본 추출과 중심극한정리:
• 중심극한정리는 대규모 집단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의 평균이 모집단의 평균에 근접하게 된다는 원리입니다. 즉, 표본의 크기가 커질수록 표본 평균의 분포는 정규 분포에 가까워진다는 것입니다.
• 간접 표준화에서도 전체 인구의 사건 발생률을 통해 기대 사건 수를 추정할 때, 충분히 큰 집단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비슷한 원리로 적용됩니다. 특정 집단의 사건 발생률이 전체 집단과 유사할 것이라는 가정이 성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단계: 기대 사건수의 합(E) 계산
기대 환자 수를 모두 합산합니다.
E = 2 + 6 + 5 + 10 + 22 + 30 + 25 + 21 + 24 = 115
3단계: 비교하고자 하는 집단의 총 사건수(Q) 계산
A지역에서 실제 결핵 환자가 40명 발생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Q=40
4단계: 표준 사건 비율 계산
어라 실제 숫자는 예측치랑은 다르죠?
5단계: 간접 표준화율 계산
간접 표준화율은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이 결과는 A지역의 결핵 발생률을 서울시의 연령대별 결핵 유병률에 맞춰 조정한 값입니다. 이를 통해 A지역의 결핵 발생률을 다른 지역이나 집단과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게 낮다는 건 A지역이 서울에 비해서는 좀 건강했다는 걸 의미하겠네요.
해석
간접 표준화율의 의미:
• 간접 표준화율은 특정 집단의 실제 사건 수(Q)와 기대 사건 수(E)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요약
- 간접 표준화율이 낮다는 것은 특정 집단의 실제 사건 수가 기대 사건 수에 비해 적다는 것이며, 이는 해당 집단의 사건 발생률이 비교 집단보다 낮음을 나타냅니다.
- 이는 해당 집단의 건강 상태가 좋거나, 예방 조치의 효과 등이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직접 표준화와 간접 표준화의 비교:
직접 표준화 (Direct Standardization)
정의
• 직접 표준화는 특정 집단의 사건 발생률을 비교하기 위해 표준 집단을 설정하고, 해당 집단의 인구 구조를 사용하여 사건의 기대 발생 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사용 상황
• 주로 사용되는 경우:
• 두 개 이상의 집단의 사건 발생률을 직접 비교할 때.
• 각 집단의 인구 구조(예: 연령, 성별 등)가 잘 정의되어 있고, 동일한 표준 집단을 사용할 수 있을 때.
• 예시:
• 두 도시 간의 사망률, 질병 발생률 등을 비교할 때 각 도시의 인구 구조를 기반으로 표준화를 진행.
장점
• 특정 집단의 인구 구조를 반영하여 사건 발생률을 비교할 수 있어, 비교의 정확성이 높습니다.
단점
• 표준 집단의 선택이 잘못되면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간접 표준화 (Indirect Standardization)
정의
• 간접 표준화는 비교하고자 하는 집단의 실제 사건 수와 표준 집단의 사건 발생률을 활용하여 기대 사건 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사용 상황
• 주로 사용되는 경우:
• 직접적으로 사건 발생률을 계산할 수 없거나, 사건 발생률이 매우 낮아 신뢰성이 떨어질 때.
• 특정 집단의 인구 구조가 불명확하거나 데이터가 부족할 때.
• 예시:
• 특정 질병의 발생률이 낮은 소규모 지역에서 기대 사건 수를 계산할 때, 전체 인구의 사건 발생률을 사용하여 비교.
장점
•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집단의 인구 구조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단점
• 직접적인 사건 비율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해석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장점
- 특정 집단의 인구 구조를 반영하여 사건 발생률을 비교할 수 있어, 비교의 정확성이 높습니다.
단점
- 표준 집단의 선택이 잘못되면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간접 표준화 (Indirect Standardization)
정의
- 간접 표준화는 비교하고자 하는 집단의 실제 사건 수와 표준 집단의 사건 발생률을 활용하여 기대 사건 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사용 상황
장점
-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집단의 인구 구조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단점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단법의 평가, 우도비(likelihood ratio) : 진단법의 타당성 (0) | 2024.11.06 |
---|---|
예방의학과 역학 개론 (3) | 2024.11.05 |
표준화 예제 풀이, 왜 표준화가 필요한가? 직접 표준화: 두 집단의 비교 (1) | 2024.11.01 |
진단법의 평가, 양성 음성 위양성 위음성 (1) | 2024.11.01 |
rate, proportion, 비교위험도, 사망률과 치명률 (0) | 202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