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0

표준화 예제 풀이, 왜 표준화가 필요한가? 직접 표준화: 두 집단의 비교 (역학에서 중요한 개념)

역학에서 표준화는 인구 집단 간의 차이를 보정하여 서로 비교할 수 있게 만드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위 예시에서는 A 국가와 B 국가의 사망률을 비교하려고 할 때, 단순히 두 국가의 사망률만 비교하는 것이 아닌, 각 국가의 인구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연령, 성별과 같은 변수들이 사망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표준화의 개념: 차이를 보정해서 공정하게 비교해 보자!1. 왜 표준화가 필요한가? • A 국가와 B 국가는 인구 구조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국가는 고령 인구가 많고, B 국가는 젊은 인구가 많습니다. • 질병에 의한 사망률을 비교할 때, 연령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령층은 특정 질병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

역학 2024.11.06

진단법의 평가, 우도비(likelihood ratio) : 진단법의 타당성

양성 결과의 우도비 (Positive Likelihood Ratio, LR+)는 진단 검사에서 양성 결과가 나왔을 때, 실제로 병이 있는 경우와 병이 없는데 양성으로 잘못 판단된 경우를 비교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양성 결과가 나왔을 때, 질병이 있을 확률을 높이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 **LR+**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이 수식에서: •**Sensitivity (민감도)**는 실제로 질병이 있는 사람 중에서 검사 결과가 양성인 비율입니다. 즉, 양성으로 진단된 진짜 환자 비율입니다. •는 특이도의 보완으로, 실제로 질병이 없는 사람 중에서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잘못 판단된 비율(위양성률)입니다. 따라서, **양성 결과의 우도비 (LR+)**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값..

역학 2024.11.06

예방의학과 역학 개론

공중보건학과 예방의학, 역학, 그리고 관련된 개념들에 대해 상세히 풀어보겠습니다. 1. 공중보건학과 예방의학의 차이 • 공중보건학: 공중보건학은 지역사회나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질병 예방, 건강 증진, 생명 연장을 목표로 하는 활동입니다. 이를 위해 각종 질병 예방 프로그램과 정책을 수립하고, 건강한 환경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합니다. • 예방의학: 예방의학은 의학의 한 분야로, 주로 개별 환자나 특정 인구 군에 중점을 두어 질병의 예방에 대한 연구와 실천을 다룹니다. 공중보건학과 예방의학은 비슷한 점이 있지만, 예방의학은 개별 질병이나 환자에 대한 예방 조치를 취하는 반면, 공중보건학은 더 광범위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합니다. 2. 공중보건학의 주요 분야 • 역학 (Epidemiology): 역학은 인..

역학 2024.11.05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1.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원리 및 구성 •HPLC는 물질을 분리하고 분석하는 장비로, 액체 이동상을 이용하여 물질을 컬럼을 통해 분리합니다. •컬럼(Column): 물질의 성질에 따라 친화력이 다른 물질과 결합하여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물질의 극성과 비극성 정도에 따라 분리 효율이 달라지며, 수평 컬럼(친수성)과 기름 친화 컬럼(친유성)이 대표적입니다. •이동상: 컬럼에 흐르는 용매로, 물질을 컬럼에서 분리하여 추출하게끔 하는 역할을 합니다. •펌프(Pump): 이동상을 컬럼으로 지속적으로 흘려 보내는 장치입니다. •디텍터(Detector): 분리된 물질의 신호를 감지하여 데이터로 출력합니다. 검출기 종류에 따라 UV, 형광 검출기(FLD), 질량 분석기 등이 있습니다. 2. LC..

약리학 2024.11.05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속의 일반적인 특성과 주요 병원성 종, 파상풍, 보튤리즘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속의 일반적인 특성과 주요 병원성 종을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은 다양한 병을 유발하는 그람양성(Gram-positive) **간균(bacilli)**으로, 독소를 생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병변을 일으킵니다.클로스트리디움의 일반적인 특징 • 형태 및 특성 (Morphology and Characteristics) • 그람양성 간균 (Gram-positive bacilli) • 운동성 있음 (Motility) • 드럼스틱 모양의 내생포자 (drumstick-shaped endospore) • 산소를 싫어하는 혐기성(anaerobic) 특성 • 카탈레이즈(catalase) 및 산화효소(oxidase) 결핍 • 아포 형성 (Spore..

간접 표준화: 전체는 알고 부분은 모를 때, 부분이 전체와 어떻게 다른지는 어떻게 알아낼까(표준화율)

간접 표준화 방법을 통해 서울시를 표준집단으로 설정하고, 특정 자치구의 결핵 유병률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아래는 각 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입니다. 가정 데이터1단계: 소그룹별 기대 환자 수 계산각 연령대별 결핵 유병률에 A지역의 인구수를 곱하여 기대 환자 수를 계산합니다. 인구에 발병률을 곱하면 서울시를 토대로 A시에 대한 예측을 한 게 되겠죠서울시의 발생률 데이터를 기반으로 A에서 일어날 사건을 예상한 겁니다 1. 전체 집단의 사건 발생률: • 간접 표준화에서는 전체 인구(또는 표준 집단)의 사건 발생률을 기반으로 특정 집단에서 기대되는 사건 수를 계산합니다. 이는 전체 집단의 평균적인 특성을 반영하므로, 해당 집단도 비슷한 경향성을 가질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합니다. 2. 표본 추출과 중심극한..

역학 2024.11.02

Tetanus, Clostridium tetani 파상풍 원인균 특성 및 진단, 치료

**테타누스 (Tetanus)**는 치명적인 급성 전염병으로, 다양한 동물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말(horse)**과 **사람(human)**에게 치명적입니다. **반추동물(ruminants)**과 **돼지(pigs)**는 비교적 감수성이 낮고, **육식동물(carnivores)**에서는 발병 빈도가 낮습니다. **조류(birds)**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병원체 (Pathogen) •병원체: 클로스트리듐 테타니 (Clostridium tetani) •특징: •그람양성(Gram-positive) 간균(bacilli) •**드럼스틱 모양(drumstick shape)**의 내생포자(endospore) 형성 •내생포자는 매우 저항성이 강하여, **고온멸균(heat sterilization)..

표준화 예제 풀이, 왜 표준화가 필요한가? 직접 표준화: 두 집단의 비교

표준화는 인구 집단 간의 차이를 보정하여 서로 비교할 수 있게 만드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위 예시에서는 A 국가와 B 국가의 사망률을 비교하려고 할 때, 단순히 두 국가의 사망률만 비교하는 것이 아닌, 각 국가의 인구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연령, 성별과 같은 변수들이 사망률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표준화의 개념: 차이를 보정해서 공정하게 비교해 보자! 1. 왜 표준화가 필요한가? • A 국가와 B 국가는 인구 구조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국가는 고령 인구가 많고, B 국가는 젊은 인구가 많습니다. • 질병에 의한 사망률을 비교할 때, 연령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령층은 특정 질병에 더 취약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두 국가..

역학 2024.11.01

진단법의 평가, 양성 음성 위양성 위음성

진양성 위음성 위양성 진음성.. 이게 다 뭔지 헷갈릴 텐데 전에 수능 지문에서 이걸 봤던 사람들은 이 문제 때문에 골머리를 앓았던 기억이 있을 거예요 LFIA 키트 지문이었죠 아마 실제로 있는 데 있다고 표시한 게 진양성 True positive 실제로 있는데 없다고 표시한 게 위음성 False negative 실제로 없는 데 있다고 표시한 게 위양성 False positive 실제로 없는데 없다고 표시한 게 진음성 True negative 이게 진단법의 평가에 이용하는 주요 지표들인데 정확도는 진양성이랑 진음성이 나올 확률인 것입니다. (그니까 검사결과가 실제를 반영할 확률인 것) 민감도는 진양성률과 같은 의미 =있을 때 있다고 표시하는 것 특이도는 진음성률과 같은 의미 =없을 때 없다고 표시하는 것...

역학 2024.11.01

rate, proportion, 비교위험도, 사망률과 치명률

1. 비율 (Rate) vs 비율 (Proportion) • 비율 (Rate): • 비율은 분모와 분자가 다른 단위를 가진 관계를 나타냅니다. 즉, 어떤 사건이 발생한 빈도를 시간, 인구 등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 예를 들어, 특정 시간 동안 발생한 감염자 수를 전체 대상자 수로 나누는 것이 비율입니다. 이때 시간이라는 단위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비율 (Proportion): • 비율은 분자와 분모가 동일한 단위로 표현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즉, 특정 집단 내에서 특정 사건이 발생한 비율을 나타냅니다. • 예를 들어, 전체 대상 중에서 질병에 걸린 사람의 비율을 나타내며, 시간의 개념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음 스퀘어 테이블을 기반으로 비교 위험도와 오즈비를 산출합니다 2. 비교 위험도 (Re..

역학 2024.10.31